[제 33차 콜로키움] 동북아시아 평화와 북한: 서로 다른 관점과 방법론,개념들 _ 김광운 경운대 초빙석좌교수 (2022.02.10)

by 마르셀 posted Feb 07,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KakaoTalk_20220207_090134144.jpg

 

Prev [2022논문멘토링 특강 나는 어떻게 박사논문을 썼는가?] 제6강 자... [2022논문멘토링 특강 나는 어떻게 박사논문을 썼는가?] 제6강 자... 2022.02.21by 마르셀 [제27차 NEAD 학술회의] 동북아시아 청년의 교차하는 감정들 (202... Next [제27차 NEAD 학술회의] 동북아시아 청년의 교차하는 감정들 (202... 2022.01.19by 마르셀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Articles

  • [제 38차 콜로키움] 생태위기와 인권위기는 하나 _ 성공희대 조효제 교수 (2022.07.14) 마르셀2022.06.29 09:58
  • [제 37차 콜로키움] 동양평화론의 21세기적 재평가 _ 일본 류코쿠대학 명예교수 이수... 마르셀2022.06.09 09:10
  • [제 36차 콜로키움] 가상세계와 근대성의 신화 _ 뉴욕 맨하턴 칼리지 로버트 M. 제라시... 마르셀2022.05.10 10:28
  • [제 35차 콜로키움] 동아시아와 토착적 근대 _ 기타지마 기신 일본 요카이치대학 명예... 마르셀2022.04.01 15:13
  • [제 34차 콜로키움] 동아시아의 눈으로 동아시아를 본다 _ 서승 우석대 (2022.03.22) 마르셀2022.03.08 16:49
  • [2022논문멘토링 특강 나는 어떻게 박사논문을 썼는가?] 제6강 자료학의 즐거움 (2022.... 마르셀2022.02.21 10:39
  • [제 33차 콜로키움] 동북아시아 평화와 북한: 서로 다른 관점과 방법론,개념들 _ 김광... 마르셀2022.02.07 09:31
  • [제27차 NEAD 학술회의] 동북아시아 청년의 교차하는 감정들 (2022.1.27) 마르셀2022.01.19 10:16
  • [제26차 NEAD 학술회의]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 20세기 초 동북아 사상의 전이와 재형... 마르셀2022.01.19 10:13
  • [제25차 NEAD 학술회의] 종교의 무엇이 폭력이 되는가 (2022.1.13) 마르셀2022.01.19 10:11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