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

본문시작

조회 수 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발표일 1953-01-01
발표연대 1950
출처 대통령기록관
대상국가 일본, 미국, 한국
발표자(원어) 이승만
발표자(한국어) 이승만
관련인물 Mark W. Clark, Douglas MacArthur
관련 도시 도쿄
키워드 크라크; 한일관계; 언론; 공산세력
요약내용 도쿄 방문은 개인적인 것이며 한일교섭재개와는 관계 없음을 주장.

이대통령 동경도착 후 성명서를 발표

 

이승만

1953

 

 

이대통령(李大統領) 동경도착(東京到着) () 성명서(聲明書)를 발표(發表)

 

금일(今日) 이대통령(李大統領)께서는 동경(東京)에 도착(到着)하신 후() 다음과 같은 성명서(聲明書)를 발표(發表)하시었다.

 

몇 일전(日前)에 발표(發表)한 바와 같이 나의 금반(今般) 동경(東京) 방문(訪問)은 약() 한 달 전()부터 우리 내외(內外)를 초청(招請)한 크라-크장군(將軍) 부처(夫妻)를 사사(私私)로히 찾어 볼려는데 있는 것이다. 좀더 일즉이 떠나고 싶었지만 시간(時間)이 상치(相値)되여 떠나지 못하던 차() 이번 신년(新年)을 당()하여 몇 일() 시간(時間)의 여유(餘裕)를 얻어 이와 같이 오게 된 것을 기뿌게 생각(生覺)하는 바이다. 이 전()에 맥아더장군(將軍)을 방문(訪問)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나는 그저 친구(親舊)들과 잠시(暫時) 조용한 시간(時間)을 지낼랴는 것이며 다시 거듭 명백(明白)히 말하고 십흔 것은 금반(今般) 여행(旅行)의 목적(目的)은 공표(公表)된 것 이외(以外)에 아모 것도 다른 것이 없다는 것이다.

 

나로서는 누구에게나 편감(偏感)을 갖인 바 없으며 한일양국관계(韓日兩國關係)에 관()한 사정(事情)을 듣고자 하는이나 또는 어떠한 문제(問題)를 명백(明白)히 알고 싶어하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기꺼히 맞나볼 생각(生覺)이다.

 

동경(東京)의 언론계인사(言論界人士)들 중()에는 본인(本人)이 지난번 당지(當地)를 방문(訪問)하였을 때 기자회견(記者會見) 석상(席上)에서 한 말을 기억(記憶)할 것이다. 나는 그 때 말하기를 나를 일본(日本)의 친구(親舊)라고 생각(生覺)하는 사람은 없는 줄아나 한국(韓國)과 일본(日本) 양국(兩國)은 왕사(往事)를 용서(容恕)하고 잊어버림으로써 양국(兩國)을 위협(威脅)하는 공산세력(共産勢力)에 대항(對抗)하여 결속(結束)하여야 한다고 하였든 것이다. 이 자리에서 솔직(率直)하게 말하고 싶은 것은 한국(韓國)은 역사상(歷史上) 침략자(侵略者)가 되어 본 일이 없으며 더욱 일본(日本)에 대()하여 국제적(國際的)인 부정(不正)을 행()하였다고 비난(非難)할 수는 없는 것이다.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은 어떤 사람을 비방(誹謗)할려는 것이 아니며 만일(萬一) 일본(日本)이 우리와 손을 잡고 일할려고 드는 한() 우리는 언제나 일본(日本)과 맞날 용의(用意)가 있다는 것을 알리려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신(精神)아래서 한국정부(韓國政府)는 동경(東京)에 대표(代表)를 파견(派遣)하여 일본정부(日本政府)에 대()하여 외교교섭(外交交涉)을 개시(開始)할 것을 요청(要請)하는 동시(同時)에 양국간(兩國間)에 항상(恒常) 알력(軋轢)과 충돌(衝突)의 원인(原因)이 되여 온 미해결(未解決) 문제(問題)의 해결(解決)을 기도(企圖)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불행(不幸)이도 이 회담(會談)은 중지(中止)되였으며 지금 우리는 일본정부(日本政府)가 동() 교섭(交涉)을 재개(再開)함이 편리(便利)하다는 것을 알게 되기를 바라는 터이다. 몇몇 신문(新聞)에 이번 내가 일본(日本)에 온 것은 이 교섭재개문제(交涉再開問題)를 위한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었으나 이는 전()혀 당()치안는 소리이다.


  1. No Image 27Sep
    by
    Views 75 

    중국 내외 기자단 회견, 대북(臺北) 국빈관(國賓館)에서

  2. No Image 27Sep
    by
    Views 64 

    장개석(蔣介石) 총통 방문차 태만(台灣) 향발(向發)에 앞서

  3. No Image 27Sep
    by
    Views 66 

    중공군 축출로 평화 강화, 유화정책은 대전 발발의 요인

  4. No Image 27Sep
    by
    Views 73 

    외국기자들이 제출한 질문서에 대하여

  5. No Image 27Sep
    by
    Views 63 

    정전 조인에 관하여

  6. No Image 27Sep
    by
    Views 76 

    정전문제에 관하여

  7. No Image 27Sep
    by
    Views 68 

    휴전 불(不) 방해 약속은 조건부였다, 외국기자 질문에 대하여

  8. No Image 27Sep
    by
    Views 42 

    크라크 장군에게 보내는 회한

  9. No Image 25Sep
    by
    Views 77 

    반공 한인포로 석방에 대하여

  10. No Image 25Sep
    by
    Views 81 

    휴전문제에 대한 한국측 대안에 관하여

  11. No Image 25Sep
    by
    Views 62 

    스타린 사망에 대하여 기자 질문에 답변

  12. No Image 25Sep
    by
    Views 61 

    중국 국부군(國府軍) 파한설(派韓說)에 대하여

  13. No Image 25Sep
    by
    Views 50 

    중공봉쇄에 대하여

  14. No Image 25Sep
    by
    Views 69 

    Dwight D. Eisenhower, Ellis O. Briggs, 변영태,

  15. No Image 25Sep
    by
    Views 56 

    이일(離日) 직전에 제하여

  16. No Image 25Sep
    by NEAD
    Views 43 

    이대통령 동경도착 후 성명서를 발표

  17. No Image 25Sep
    by
    Views 52 

    아이젠하워 씨를 환영함

  18. No Image 25Sep
    by
    Views 60 

    주한 미국 대사 부릭스 씨의 봉정사에 대한 치사

  19. No Image 25Sep
    by
    Views 52 

    아 원수 미국 대통령 당선에 대하여

  20. No Image 25Sep
    by
    Views 66 

    UN한국위원단에 대한 회한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